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생활정보

살모넬라 장염 이후_ 파라티푸스 의심 환자 신고 후기

by 무성의 2024. 6. 13.

살모넬라 장염으로

10일 간의 입원 생활이 끝난 후 

집으로 돌아와서도

파라티푸스 의심환자로 격리 생활을 하면서

 

 

2024.05.29 - [분류 전체보기] - 7세 아이 길고 긴 살모넬라 장염 증상 및 입원 기록_1

 

7세 아이 길고 긴 살모넬라 장염 증상 및 입원 기록_1

또래보다 늘 건강한 편인 7세 아들이 장염을 앓았다. 그것도 독하기로 유명한 살모넬라 장염.. 10일도 넘게 아파서 고생한 아들과 곁에서 지켜볼 수 밖에 없어 너무 힘들었던 시간. 잊을 수 없는

sallimbang.tistory.com

 

2024.06.05 - [분류 전체보기] - 7세 아이 길고 긴 살모넬라 장염 증상 및 입원 기록_2

 

7세 아이 길고 긴 살모넬라 장염 증상 및 입원 기록_2

이전 글에 이어 계속... 격리된 1인실 뷰가 너무 좋아 정말 아이 말대로 호텔 같은 느낌?!8일차/ 입원 6일차 - 설사, 혈변 지속어느새 입원 6일차... 연결한지 오래라 그런지 손등의 수액 주사관이

sallimbang.tistory.com

 

 

 

 

고열, 복통, 설사 등 대다수의 증상은 사라졌지만

단 하나 대변이 문제였다.

계속 되는 점액이 살짝 섞인 변 때문에

항생제를 계속 먹게 되었다.

 


 

 

그리고 격리 해제를 위해 보건소와 매일 통화했다.

 

곧 나온다던 파라티푸스 정밀 검사 결과는 

예상일보다 3일 후에야 알 수 있었는데

 

다행히도 

 

 

음성!!!ㅠㅠㅠㅠ

 

 

이제 마음껏 돌아다녀도 되는구나ㅜㅜ

유치원도 갈 수 있다!!

 

기쁜 소식을 가족들에게 전하고 

이 때쯤엔 대변도 정상으로 돌아왔다!!

 

마지막 외래 진료에서 

더이상 병원에 오지 않아도 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길고 길었던 장염 투병 생활이 끝이 났다...ㅜㅜ

잘 버텨준 아이에게 너무나 고마웠다.


 

 

오늘은,

의심 단계였음에도 불구하고 격리 조치가 필요했던

파라티푸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걱정되는 마음에 질병관리청 홈페이지를

싹 다 뒤져가며 조사한 내용을 우리가 경험한 절차와 함께 

아래에 정리해 보았다. 

 

 

파라티푸스 (Paratyphus)

 

 

 

어떻게 발생하는가?

 

살모넬라는 단일종으로 분류되긴 하지만

특정 항원이나 항체에 반응하는 성질(혈청형) 에 따라

2000가지가 넘게 다시 세분화 된다. 

 

이 혈청형 중에서

살모넬라 파라타이피(Salmonella paratyphi) A, B, C

라고 하는 3가지 균에 의한 감염증이

바로 파라티푸스이다.

 

 

장티푸스와 유사하면서도 훨씬 가벼운 증상을 나타내며 

사망률도 낮기 때문에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가벼운 증상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실제로 보고되고 있는 것 보다

더 발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에서는 장티푸스에 비해

확실히 발생 수준이 낮게 보고되고 있다고 한다.

 

 

어떻게 전파되는가?

 

주로 사람을 통해 감염되지만

간혹 가축을 통해 감염되기도 하며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먹으면 감염된다.

흔히 조개, 우유, 유제품이 주 원인인 듯 하다.

 

 

 

진단 및 신고

 

혈액, 소변, 대변 배양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한데 

우리 아이의 경우 대변 배양 검사 결과 파라티푸스 의사환자 진단을 받았다.

 

 

의사 환자란, 

 

감염병병원체가 인체에 침입한 것으로 의심이 되나

감염병 환자로 확인되기 전 단계에 있는 사람을 의미하는데, 

 

 

2급 법정 감염병파라티푸스의 경우

확진된 환자, 의사 환자, 증상이 없어도 병원체 보유자이면

모두 질병관리청 혹은 관할 보건소장에게 신고하게 되어 있다. 

 

 

배양검사를 실시한 병원에서

의심 단계임을 신고를 하면 

유관 검사기관(보건환경연구원)에서 정밀한 검사를 통해

최종 확진임을 결정한다고 했다.

 

 

이 검사 기간이 대략 10일 정도 소요된다고 보면 되고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의사(의심) 환자로서 격리가 필요한 것이다.

 

 

 

보건소 역학 조사 및 격리 

 

 

 

신고 이후, 주민등록 주소지 상의 보건소에서

보호자인 나에게 연락이 와서 

의심단계이긴 하지만 역학조사가 필요하다고 했다.

 

 

진단 받은 내용,

음식물 섭취력,

위험지역 여행 여부,

접촉자 여부 등등 

자세한 조사가 진행되었다. 

 

 

또한 격리 조치가 필요하다고 하여 

공인된 입원 및 격리 통보서를 보내주었다. 

 

참고로 보호자인 나와 남편의 경우는 증상이 없으므로 

격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본래 파라티푸스 환자 격리 기간은 

증상이 소실되고 항생제 치료 완료 후, 

최소 48시간 경과 후 격리 해제 되나, 

 

우리 아이는 개인 위생 조절이 스스로 어려운 영유아에 해당되어 

최종 진단 결과 확인까지 격리되어야 했다. ㅜㅜ

 

 

그리고 중요한 사실!

 

우리는 병원 입원실 중 4인 1실을 사용 중이었으나

격리 입원 원칙에 의해 1인실로 병실을 이동했는데

이 때 들어가는 비용은

법적으로 4인 1실과 동일하게 청구되니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격리입원 치료 비용 지원 

 

 

 

중요한 사실은 의심 환자라 하더라도

보건소에서 입원/격리 통지서를 발급한다면

격리입원치료 기간 내 치료비와 관련된 비용이 지원된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통지서를 발급받았기 때문에 

입원(격리) 비용 신청서를 작성하여 각종 구비서류와 함께 제출하였다. 

 

 

치료비 신청시 구비 서류는 아래와 같다. 

 

  • 입원(격리) 통지서 1부 
  • 입원(격리)비용 신청서 1부
  • 의료기관이 발행한 영수증 및 진료비 상세내역 각 1부
  • 진단서 또는 소견서 (법정 감염병 신고서로 대체 가능)
  • 병원체 검출 결과가 기재된 검사 결과서 1부 (보건소에 직접 요청하여야 함)
  • 주민등록상 주소지 확인 가능 서류 및 신청인과 환자 관계 증명 서류 (등본)
  • 통장 계좌 사본 1부 

 

신청 후 아직 지원금을 받아보진 못했는데

받고 나면 이 글에 추가하도록 하겠다. 

 


 

 

우리 아이는 의사 환자 신고 후

최종 음성 판정으로 바로 격리 해제 되고 종료되었지만 

 

혹시 양성 판정을 받게 된다면 

또다시 보건소를 통해 관련 지침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나 절차를 따라야 한다고 들었다. 

 

 

 

이제 모든 게 다 끝났다고 생각했지만

음성 판정 이후 10일 가량 지난 지금도 

아직 장 컨디션이 회복되지 않은 듯 해

유심히 지켜보는 중이다. 

 

 

여름이 다가오면서

더더욱 위생이 신경쓰이는 시기라,

당분간은 계속 음식 조절을 하면서 

완전히 회복되기를 기다려야겠다.

 

 

 

 

※참고자료

 

2024년도 감염병 관리 사업 안내(일부개정) | 지침 | 법령·지침·서식 | 알림·자료 : 질병관리청 (kdca.go.kr)

 

[제1군] 파라티푸스 | 교육자료 | 홍보자료 | 알림·자료 : 질병관리청 (kdca.go.kr)